참여학과 | 목표 |
---|---|
기계설계공학과 기계공학과 전자공학부 메카트로닉스학과 |
미래자동차공학은 자율주행 및 전기자동차 기술로 대표되는 미래자동차 분야의 선도 인재양성을 목표로 차량동역학, 모터제어, 차체구조 등의 역학관련 교과와 자율주행실습, 영상처리, 머신러닝 등 소프트웨어교과를 학습하여 실제 차량시스템에 적용하는 융합교육을 실시 - 진로 분야 : 자동차 분야 R&D, 부품제조, 전장 등 |
“일찍이 「미래형자동차」 융합전공을 신설, 이를 발판으로 정규 학과 체계로 발돋움”
· 혁신형 융합전공의 기획·운영을 전담하는「미래대학」을 신설(19년~)
·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급속한 산업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융·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문간 벽을 허물고 자기 주도적 학습역량을 습득하는 특성화 교육체계 구축
※ 대학 발전계획의 특성화 전략에 따라 융복합 11개 전공 개설 운영 중(부전공·복수전공 체계)
※ 미래산업 수요 예측(20.1월)을 토대로 학문 및 산업기술 분야의 성장성, 인력수요 전망, 정책 연계성 등을 평가하여 10개 분야를 도출하고 그 중 6개 분야에서 AI 등 신기술을 도입
※ 매년 1~2개 이상 신설하여 25년까지 학과별로 연계전공을 1개 이상 주관하여 운영 추진 예정
· 우리대학은 일찍이 미래대학內 미래자동차융합전공을 개설하여 미래형자동차 분야 핵심인력 양성을 위한 학과간 융합과정을 운영 중(19.9~)
※ 전통적인 기계, 기계설계 전공 학생뿐만 아니라 컴퓨터, 전자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본인의 전공과 연계된 융합 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우수한 융합 인재를 육성
미래자동차 융합전공 교과과정(메카제외)
· 우리대학 중장기발전계획에 따라 학과단위로 분산되어 있는 미래형자동차 관련 자원을 한데 모아 정규 전공·학과체계로 신설 추진 중
※ 현재 운영 중인 미래대학 융합전공이 타 전공학생을 미래자동차 인력으로 양성하는 역할이 컸다면, 본 정규 전공·학과 개설은 미래형자동차 분야의 전문·실무역량을 갖춘 엘리트 인재 양성에 초점
· (1단계-전공신설 / ~23년) 기계설계공학부 내에「지능형모빌리티전공」을 신설하고 대학과 학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전공 인큐베이팅 실시
· (2단계-학과신설 / ~25년) 인큐베이팅 기간 동안 우수 교육·연구자원과 대외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, 「스마트모빌리티 대학(단과대학)」 으로 확대 개편
· (실습 위주 교육) 미래자동차융합전공 교과과정 중 80% 이상을 실습, 캡스톤디자인, 현장실습 교과로 운영
· (4개 전공능력) 다양한 교과목을 제공하되, 산업체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 4개의 전공능력을 정의하여, 각 전공능력을 충분히 개발할 수 있도록 심도있는 교육과정 제공
· (문제해결 기반 학습) 실습교과목을 대거 개설하고, 캡스톤디자인, 산학프로젝트교과, 현장실습교과를 운영하여 이수생들로 하여금 미래자동차분야 현업과 관련된 문제해결능력 충실히 배양
· (현장실무 기반 학습)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참여학생들의 현장실습․인턴쉽 수요처 발굴 및 프로그램 운영 지원
· (현장문제 해결) 산학연 협의체 운영을 통한 미래자동차 관련 기업의 기술적인 애로사항 파악을 통한 산학프로젝트 주제 도출 및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개정
· (교육과정 운영의지) 2023년도 지능형모빌리티전공을 기계설계공학부에 신설하여 미래자동차융합전공 교과과정의 대부분을 운영할 예정이었으며, 생산 관련 교과목 일부는 본교 스마트팩토리융합전공 교육과정 활용 예정
<표> 미래자동차 융합교육과정 커리큘럼 구성
구분 | 친환경차 | 스마트카 | ||
---|---|---|---|---|
기초공통 (15학점) |
미래자동차공학개론(3), 통계 및 신뢰성분석(3), 기초전기전자실습(3), 신호 및 시스템(3), 인공지능개론(3) | |||
특화교육 (산학연계) |
친환경차 개발능력트랙 |
친환경차구동장치 개발능력트랙 |
친환경차 생산기술·품질관리능력트랙 |
스마트카 전장개발능력트랙 |
실험계획법(3) (기존, 실습) |
자동차임베디드시스템(3) (기존) |
빅데이터분석(3) (기존, 실습) |
자동차임베디드시스템(3) (기존) |
|
전기자동차모터이론(3) (신설, 실습) |
전기자동차모터이론(3) (신설, 실습) |
실험계획법(3) (기존, 실습) |
차량센서융합시스템(3) (신설, 실습) |
|
자동차소음진동(NVH)(3) (기존, 실습) |
배터리제어 및 응용 (신설, 실습) |
자동차생산공학개론(3) (신설) |
차량지능제어(3) (신설, 실습) |
|
CAE차체구조해석(3) (신설, 실습) |
전기자동차구동 및 제어(3) (신설, 실습) |
CAE차체구조해석(3) (신설, 실습) |
빅데이터분석(3) (기존, 실습) |
|
전공심화 (6학점) |
지능형모빌리티제작실습 (3+3, 캡스톤)(전기자동차 및 자율주행자동차 경진대회 참가)(차량제작실, 주행트랙, 제2캠) |
|||
전공 실무 (10학점) |
현장실무기초(1), 현장실습(3.필수), MyLAB연구(3+3, 캡스톤) |
<사진> 미래자동차 융합교육과정 교육장비 사진(전기배터리, 자율주행트랙(예시))
<표> 미래자동차융합전공 부·복수전공 이수조건
과정구분 | 전공명 | 미래자동차융합전공 | 비고 | 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트랙명 | 친환경차 개발 | 전기구동 시스템개발 | 친환경차 생산기술·품질관리 | 스마트카 전장개발 | ||
교육 과정 (18학점 이상) |
기초 공통 | 6학점(2과목) 이상 | ||||
전공 기초 | 친환경차 개발 | 전기구동 시스템개발 | 친환경차 생산기술·품질관리 | 스마트카 전장개발 | ||
실무과정 (3학점) | 직무훈련 | 현장실무기초(선택), 현장실습(필수), MyLAB연구(선택) | 산학 연계형 | |||
이수조건 | 부전공 | 21학점 이상 이수 | ||||
복수전공 | 36학점 이상 이수 |
· 미래자동차융합전공(부전공, 복수전공) 장학금 지원
· 미래자동차 교육과정 지원미래자동차분야 insight를 확장할 수 있는 단기교육과정 교육비 지원 예시) AWS DeepRacer로 배우는 자율주행 교육과정 등
· 각종 국내외 미래자동차 관련 경진대회 및 학회 참가비 지원
· 현장실습 활동비 지원
한국공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지원팀 미래형자동차기술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단 031-8041-017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