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대학원 인력양성
  • 친환경

친환경

친환경자동차 부품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글로벌 수준의 핵심 R&D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장기술 중심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산학연계형 생태계 구축

컨소시엄

- 주관연구개발기관 :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

- 공동연구개발기관 : 국민대, 성균관대, 한국과학기술원, 한양대, 단국대, 한국자동차연구원

교육기관
구분 기관명 학과명 전공명/연구실명
전력변환장치 분야 국민대학교 자동차 모빌리티 대학원 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차량응용음향 및 진동제어 실험실
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모빌리티 추진 연구실
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전기모터 제어 실험실
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차량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실험실
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차량 인간공학 실험실
자동차모빌리티전공 / 차량 동역학 및 제어 통합 연구실
열관리장치 분야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기계공학전공 / 차량시스템연구실
기계공학전공 / 열및물질제어연구실
기계공학전공 / 에너지변환연구실
기계공학전공 / 재활-바이오메카트로닉스연구실
기계공학전공 / 열전달연구실
지능형팹테크 융합 전공학과 지능형팹테크융합전공 / 열및물질제어 연구실
에너지장치 분야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수송동력연구실
신에너지변환시스템연구실
첨단에너지변환저장연구실
신소재공학과 에너지변환및저장재료연구실
구동장치 분야 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전산설계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지능기계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광학계측및차량열관리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지속동력전기전자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전력전자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최적설계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컴퓨터기반전기설계연구실
미래자동차공학전공 / 기계감지제어연구실
환경인식 항법 및 차량제어 단국대학교 기계공학과 스마트모빌리티전공 / 에너지시스템연구실
스마트모빌리티전공 / CAD/CAM연구실
스마트모빌리티전공 / 소음진동연구실
스마트모빌리티전공 / 전산역학연구실
스마트모빌리티전공 / 지능형모빌리티연구실
전자전기공학과 융합모빌리티전공 / 에너지변환연구실
융합모빌리티전공 / 지능제어공학연구실
융합모빌리티전공 / 임베디드 / 병렬처리연구실
융합모빌리티전공 / 미래영상연구실
교육 과정

- 국민대학교
xEV를 위한 인버터 설계 및 소프트웨어, 차량진단,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특화된 커리큘럼 제공

- 성균관대학교
xEV(EV, HEV/PHEV, FCEV)의 연비 향상을 위한 열관리시스템 기술 특화된 커리큘럼 제공

- 한국과학기술원
xEV의 에너지장치 분야인 연료전지(고분자 전해질/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등)와 배터리(리튬 이온 배터리, 차세대 배터리 등)에 특화된 커리큘럼 제공

- 한양대학교
xEV를 위한 모터 설계 및 최적화, 모터 및 차량 제어, 고장진단/신뢰성/열에 특화된 커리큘럼 제공

- 단국대학교
친환경자동차[에너지변환 및 제어 장치] 분야 특화 커리큘럼 구성

집중교육과정

구분 교육과정
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

(전력변환장치) 친환경차 전력변환 시스템 기초, 전력반도체 및 파워모듈 이해, 전동화 시스템의 핵심 전력전자 응용 등

(열관리장치) 열관리 실무를 위한 기초 이론 이해, 친환경차 부품통합 열관리 시스템의 이해

(에너지 저장장치) 배터리 시스템, 열료전지 개발실무,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어, 배터리시스템 특화 공학 이해

(구동장치) 구동모터 및 핵심부품 설계 실무, 친환경차설계 실무, 구동모터 전자기 NVH해석, 전동화 시스템 전력변환 등

(에너지변환 및 제어장치) 차량용 충전 시스템 실무, 800v 충전 시스템의 이해, A-SPICE 및 ISO26262

(친환경차 기초) 친환경차 시스템 및 플랫폼의 비교를 통한 이해, 친환경차 개발 실무 교육 등

(온라인 기초 교육) 전력변환장치 기초, 구동장치 기초, 에너지 저장장치 기초, 열관리장치 기초, 친환경자동차 기초 등 제공

모집인원 및 이수요건
대학명 모집인원 이수요건
국민대학교 年20명 xEV 특화 교육과정 석사과정 12학점 이수, 박사과정 18학점 이수, 산학프로젝트 수행, 졸업논문 등
성균관대학교 年18명
한국과학기술원 年16명
한양대학교 年17명
단국대학교 年22명

※ 모집인원은 대학별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
문의처
구분 소속 담당자
주관연구개발 기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모빌리티융합실

이규진 과장

02-6388-6162 / kyujin.lee@gokea.org

공동연구개발 기관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02-910-6611 / research.kookmin.ac.kr
성균관대학교 기계기술연구소 031-290-7923 / ranbiz.skku.edu
한국과학기술원 042-350-8257 / fuelcell.kaist.ac.kr
한양대학교 미래자동차공학과 인력양성사업단 02-2220-4688 / ae.hanyang.ac.kr
단국대학교 에너지시스템연구실 031-8021-8470 / me.dankook.ac.kr/web/me
교육혜택

xEV 분야 석박사 전문교육

- xEV 및 핵심부품 R&D를 위한 핵심 융합 기술 특화교육

- 기업 수요 기반 커리큘럼 제공

집중교육과정 및 테스트 베드 지원

- 최신 기술 트랜드를 반영한 실습 중심 집중교육과정 운영

- 전문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활동 지원

산업체 연계 프로젝트 등 기업 스킨십 기회 제공

- 산학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기업 현장기술 습득 기회 제공

- 산업체 인턴쉽/현장실습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

컨소시엄 참여기업과의 취업연계 지원

- 기업 및 전문연구기관 인턴쉽,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

- 자동차, 부품, 전자, IT등 참여기업 연계한 취업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