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대학원 인력양성
  • 보안시스템

보안시스템

4차산업 시대를 주도하고 미래차 보안시스템 분야의 전문지식을 보유한 글로벌 창의 인재양성

컨소시엄

- 주관연구개발기관 : 고려대학교

- 공동연구개발기관 : 숭실대학교, 단국대학교,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

교육기관
구분 기관명 학과명 전공명/연구실명
클라우드 보안 / AI 보안 고려대학교 정보보호학과, 정보보안학과 임베디드보안연구실
해킹대응기술연구실
개인정보보호연구실
금융보안정책연구실
네트워크및보안연구실
디지털포렌식연구실
보안공학연구실
사이버법정책연구실
시스템보안연구실
암호알고리즘연구실
암호프로토콜연구실
위험관리연구실
정형기법연구실
하드웨어보안연구실
무선네트워크연구실
컴퓨터시스템보안연구실
인공지능연구실
신호정보해독연구실
SW 보안 / AI 보안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사이버보안연구실
AI보안연구실
네트워크보안 및 프라이버시연구실
네트워크 보안 / AI 보안 단국대학교 컴퓨터학과 시스템소프트웨어연구실
지능형교통시스템보안연구실
운영체제및보안연구실
정보보안연구실
모바일운영체제연구실
소프트웨어보안연구실
교육 과정

- 고려대학교
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특화 커리큘럼을 제공하고, 다 분야가 융합된 교과목은 고급융합 교과목으로 설정

- 숭실대학교
SDV 패러다임 전환을 고려한 미래형자동차 SW 보안과 인공지능 보안에 특화된 교육커리큘럼 제공

- 단국대학교
무선모바일 네트워크 특론, V2X보안기술동향 등 과목으로 네트워크 보안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AI 보안 특론 등 특화과정 제공

집중교육과정

구분 교육과정
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

(AI보안) 인공지능 기초 이론 및 실습, 딥러닝 해킹 적대적 공격, ISO PAS 21448 등

(SW보안) UNECE R.155, 자동차기능안전 및 사이버보안 분석, SW 안전분석 및 설계 등

(네트워크보안) V2X 통신기술 이해, 글로벌 사이버위협 현황 및 해킹사고 대응사례, 자동차 통신 접점별 보안 위협 및 해킹사례 분석 등

(클라우드보안) 지능형 자동차 클라우드 기술 이해, 서버 가상화, 퍼블릭클라우드 기초, 클라우드 보안 인증 개요

(기반기술) Automotive Security, 자동차 전장 시스템 이해, 차량용 통신시스템 이해, AUTOSAR, ASPICE기초,ISO 26262 기초 등

모집인원 및 이수요건
대학명 모집인원 이수요건
고려대학교 年7명

(기간) 최소 3학기 이상 참여

(석사) 기초공통 6학점, 전공핵심 및 고급융합 6학점, 산학연계 3학점 이수

(박사) 기초공통 6학점, 전공핵심 및 고급융합 9학점, 산학연계 3학점 이수

(석박통합) 기초공통 9학점, 전공핵심 및 고급융합 12학점, 산학연계 6학점 이수

(산학프로젝트) 최소 1건 이상 참여

(집중교육) 매년 최소 1개 이상 집중교육 참여

숭실대학교 年7명
단국대학교 年7명

※ 모집인원은 대학별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
문의처
구분 소속 담당자
주관연구개발 기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02-3290-4997 / beb0396@korea.ac.kr
공동연구개발 기관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02-820-0941 / hyojin.jo@ssu.ac.kr
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031-8005-3234 / samuelwoo@dankook.ac.kr
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

장지환 과장

02-6388-6167 / jjh0302@gokea.org

교육혜택

미래형자동차 보안시스템 분야 석박사 전문교육

- 미래차 SDV 전환 및 AI시대를 준비하는 핵심 융합 기술 특화교육

- 기업 수요 기반 커리큘럼 제공

산업체 연계 프로젝트 등 기업 스킨십 기회 제공

- 산학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기업 현장기술 습득 기회 제공

- 산업체 인턴쉽/현장실습을 통한 실무능력 배양

집중교육과정 및 테스트 베드 지원

- 최신 기술 트랜드를 반영한 실습 중심 집중교육과정 운영

- 전문기관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활동 지원

컨소시엄 참여기업과의 취업연계 지원

- 기업 및 전문연구기관 인턴쉽, 현장실습 프로그램 운영

- 자동차, 부품, 전자, IT등 참여기업 연계한 취업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