참여학과 | 특화분야 | |
---|---|---|
기술분야 | 적용분야 | |
전기제어공학과 전자공학과 항공기계공학과 |
친환경차 스마트카 자율주행 |
친환경 스마트카 인프라&서비스 |
목표 | 산업계 수요 기반의 미래형자동차 산업 인재양성 및 공급체계 구축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추진전략 |
교육환경 구축(인프라)
산업맞춤형 교육과정 운영(교육과정)
취업지원 및 대학원 연계(성과확산)
|
||||
추진방향 | 학위과정(복수전공) | 산학프로젝트 / 단기집중교육과정 | 현장학습 / 인턴십 | 교육협력 / 성과확산 | 대학원연계 |
세부 추진과제 |
· 「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」 교육과정 신설 · 친환경차/스마트카 전공별 특화분야 설정 · 교과목 개발/개선 산학연 참여 · 교육과정위원회 운영 |
· 산업체 전문가 교육 참여 · 실무중심의 OJT 실습교육 · 산학프로젝트 참여기회제공 · 대학지원센터 및 대학 내 단기집중교육과정 기회제공 |
· 기업 맞춤형 현장실습 참여 · 인턴십 기회 제공 · 기업-학생 미스매칭 해소 · 컨소시엄 기업으로의 취업연계 (산학장학생 등) |
· 충북 C-Track 활용 실차기반 교육프로그램 운영 · 충북대 MOU기반 교과/비교과 공동교육 운영 · 미래핵심기술 세미나 정례화 · 산학간담회/성과교류회 운영 |
· 「미래형자동차 핵심기술 전문인력양성」사업 연계 · 「미래자동차 트랙」과 연계 · 학부-대학원 융합 교육과정 · 학부-대학원생 공동 참여 프로그램 운영 |
학사제도명 | 참여학생 원소속 | 내용 |
---|---|---|
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학사 |
전기제어공학과 전자공학과 항공기계공학과 |
·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전공 (복수전공) 교육과정 내 교과목 36학점 이상 이수 · 현장실습·인턴십 기간 내 1건 이상 필수 · 산학프로젝트·단기교육과정 연 1건 이상 필수 |
※ 이수 최소 기준 |
· 기초공통 + 전공기초 교과목 : 18학점 이상 이수 · 전공심화 + 융합실무 교과목 : 18학점 이상 이수 |
|
※ 현장실습 이수학점 관련 |
· 현장실습 학점 연계 및 비연계 2-track 선택 가능 |
미래자동차 기술융합전공 신설 | 교육 인프라 구축 및 활용 | 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·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전공 신설 · 융합/특화 교과모고 개발 및 개선 (10건 개발, 6건 개선)
|
· 융합교육실 환경 구축 - 융합동아리 활동 지원 (교내외 자율주행 경진대회 준비, 수혜 학생 세미나 및 실습실 활용) |
·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- 컨소시엄기업 수요반영을 위한 산학연 교육과정위원회 운영 - 산학 우수 강사진 확보 및 미래핵심기술 세미나 운영 |
||||||
· 실내주행트랙 환경 구축 - 미래차융합프로젝트 등 융합교과목 실습교육장으로 활용 - 교내 자율주행 경진대회 운영 및 교외 경진대회 연습용으로 활용 |
· 융합교과목 연계 경진대회 운영 - 미래차융합프로젝트의 팀단위 프로젝트를 통한 전기차/자율주행 핵심원리 및 시스템설계 교육 - 3D 프린팅 자작전기차 경진대회 및 자율주행 경진대회 |
|||||||
![]() |
![]() |
|||||||
· 청주대학교 미래형자동차 인력양성사업단 홈페이지 구축 - https://fvehicles.cju.ac.kr |
· 자율주행 스케일차 도입 - 1/12 모형차(라즈베리파이) 활용 - 1/10 모형차(AMD Ryzen) 활용 |
· 실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- 현장실습교육 필수 이수 - 학점 연계/비연계 2-track 운영 - 기업탐방 및 취업 특강 운영 |
||||||
![]() |
![]() |
![]() |
||||||
· 교육장비 도입 및 활용 - ANSYS EM Simulation Tool - ANSYS M Simulation Tool - MORAI SIM Drive 시뮬레이터 |
· 산학프로젝트 및 단기집중교육 - 기업 애로기술해소 / 사업화연계 수요기반 산학프로젝트 발굴 및 전담 코디네이터 지원 - 기업 요구기술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단기집중교육과정 운영 |
|||||||
![]() |
교육대상 | 모집인원 | 학위구분 | 이수조건 |
---|---|---|---|
3학년 ~ 4학년 학부생 | 60명 | 복수전공 |
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전공 교육과정 내 36학점 이상 이수 - 기초공통·전공기초 교과목 : 18학점 이상 이수 - 전공심화·융합실무 교과목 : 18학점 이상 이수 |
현장실습 or 인턴쉽 기간 내 1회 이상 이수 |
|||
산학프로젝트 or 단기집중교육과정 연 1건 이상 이수 |
· 융복합전공 신청자 「매학기 3학점 추가」신청가능
· 현장실습(인턴쉽), 단기집중교육과정 및 산학프로젝트 참여 등 실무역량 강화교육 참여가능
· 융합동아리 및 경진대회 활동 참여가능
· 다양한 비교과활동(미래핵심기술세미나, 현장체험 등) 참여가능
· 참여도에 따라 마일리지 장학금 1~4등급 차등 수여가능
· 취업·진로 프로그램에 따른 취업 연계 또는 대학원 연계가능
청주대학교 미래형자동차 인재양성사업단 043-299-7587
- 미래차융합프로젝트 과목은 팀 단위 프로젝트를 통해 전기차/자율주행핵심 원리 및 시스템 설계 등의 실무 교육 교과목
- 교육 후 학습 내용을 응용하고 개발하여 교내 경진대회를 통하여 학생들의 도전과 성취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 함양과 협력능력 향상되도록 설계
- 2022년 2학기 미래차융합프로젝트1 교과목에 수혜학생 60명 모두 수강 후 모든 학생이 「3D모델링을 활용한 자작 전기차 경진대회」, 「2022 청주대학교 자율주행 경진대회」에 참여함
- 대회개요
· 22학년도 2학기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전공 3-4학년 학생(60명) 21개 조가 참여하여 카메라를 장착한 자작 전기차를 제작해 FPV(First Person View) 고글을 이용한 실내 트랙 주행 성능을 평가하는 대회
· LAB Fair 개최를 통해 대학원 연구실 소개 및 대학원 인력양성 사업 소개
- 교육 내용
· 미래차융합프로젝트1 수강생을 대상으로 7주간 교육 후 경진대회 진행
· 전기차를 직접 제작, 주행함에 따라, 3D프린터 조립/제작을 통한 동작원리 이해
· 3D CAD를 이용한 모델링/프린팅 실습, RC CAR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, 모터 구동장치 구현 / 오픈하드웨어 프로그래밍 실습, 오픈루트 토크배터링을 통한 주행 디버깅 진행 등의 교육
- 홍보 및 경진대회 사진
- 대회개요
· 자율주행 경진대회를 통해 영상처리, 센서제어, 모터제어,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등의 미래형자동차와 관련된 분야를 학습함으로써 자동차 융합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도전과 성취를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
· 실제 도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접목된 자율주행 미션 수행
- 교육 내용
· 미래차융합프로젝트1 수강생을 대상으로 6주간 교육 후 경진대회 진행
·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요소기술 소개 및 하드웨어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 및 ROS 플랫폼 소개와 동작방식 이해
· 센서장치 (카메라, 라이다, 초음파센서) 기초와 활용
· 구동장치 (조향모터, 구동모터) 이해와 활용, RVIZ에서 차량 3D모델링과 가상공간에서 3D 차량 주행 실습
· 파이썬 코딩을 통해서 센서와 구동장치 제어하고 활용
· OpenCV 기반의 카메라 영상처리로 차선과 객체를 찾고 인식하기
- 홍보 및 경진대회 사진